이번 포스트에서는 라즈베리 파이에서 삼바를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환경: 라즈베리 파이4
삼바 설치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삼바를 설치합니다.
'sudo apt install samba samba-common-bin'
위 명령어를 라즈베리 파이의 터미널을 열고 입력해봤습니다.
pi@raspberrypi:~ $ sudo apt install samba samba-common-bin
Reading package lists... Done
Building dependency tree
Reading state information... Done
samba is already the newest version (2:4.9.5+dfsg-5+deb10u1+rpi1).
samba-common-bin is already the newest version (2:4.9.5+dfsg-5+deb10u1+rpi1).
The following packages were automatically installed and are no longer required:
libexiv2-14 libgfortran3 libgmime-2.6-0 libncurses5 libssl1.0.2 uuid-dev vlc-l10n vlc-plugin-notify
vlc-plugin-samba vlc-plugin-video-splitter vlc-plugin-visualization
Use 'sudo apt autoremove' to remove them.
0 upgraded, 0 newly installed, 0 to remove and 140 not upgraded.
![](https://blog.kakaocdn.net/dn/bCjxzW/btsd4cZPbiw/pVjfv3DU8E9kOMhiWrH9mk/img.png)
설치를 진행하다 보면 'Samba server and utilities' 창이 나타나면 'No'나 '아니오'를 선택합니다. multihomed smb network에만 필요하고, 일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하지 않습니다.
삼바 계정 추가
'sudo smbpasswd -a pi' 명령어를 입력해 pi라는 삼바 계정을 추가한 다음에 삼바 패스 워드를 입력합니다.
pi@raspberrypi:~ $ sudo smbpasswd -a pi
New SMB password:
Retype new SMB password:
![](https://blog.kakaocdn.net/dn/Lwtgm/btsd006GKPp/tElXUttxgoyhTLV22kLyaK/img.png)
이어서 '/etc/samba/smb.conf' 파일을 열고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pi]
comment = pi shared folder
path = /home/pi
valid users = pi
browseable = yes
guest ok = no
read only = no
create mask = 0777
아래는 제가 설정한 라즈베리 파이 설정 화면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Aodn3/btsdY2x52xF/BouhogKz5lNifHS4StMRzK/img.png)
이어서 'sudo service smbd restart' 명령어를 입력해 삼바를 재실행합시다.
pi@raspberrypi:~ $ sudo service smbd restart
![](https://blog.kakaocdn.net/dn/bDIpan/btsd0SnoJLc/554Ii2c8SREbpUdMKKykU0/img.png)
처음 삼바를 restart 할 때는 pi 혹은 root를 선택하라는 옵션 창이 뜨는데 이 때 1(pi)을 선택하면 됩니다.
윈도 PC에서 삼바 접속하기
이제 윈도에서 삼바를 접속할 차례입니다.
아래 형식으로 디렉터리 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합시다.
\\ip주소\pi
제 pi 주소는 192.168.0.9 이니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192.168.0.9\pi
![](https://blog.kakaocdn.net/dn/bC1Gis/btsdZOlBBlH/5xR9oJOgIaQ89zHXaOSE40/img.png)
이후 패스 워드를 입력하라는 창이 뜨면 삼바를 설정할 때 입력했던 패스 워드를 입력합시다.
설정 결과 아래와 같이 라즈베리 파이에 삼바로 접속할 수 있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ef2v/btsdZz95SJa/TRqmiVGOdtcsJQKptkAwW1/img.png)
삼바는 기존에 다른 블로그 유저 분들께서 올리신 자료를 바탕으로 잘 설정하게 됐습니다.
아래 블로그 운영자께 감사드립니다.
'리눅스 커널의 구조와 원리 > 2. 라즈베리 파이 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유틸리티: tar, tar.gz 분할 압축 하기/압축 풀기 (0) | 2023.05.05 |
---|---|
[리눅스] 라즈베리 파이에서 codespell 설치하기 (0) | 2023.05.05 |
[펌:출처명시][라즈베리파이] putty로 SSH 연결이 안될 때 (0) | 2023.05.05 |
[라즈베리 파이] 터미널에서 '복사 + 붙혀넣기'가 안될 때 - 'set mouse-=a' (0) | 2023.05.05 |
[라즈베리파이] 라즈비안(Raspbian) 리눅스 커널(LinuxKernel) 전처리 파일 생성하기 (0) | 2023.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