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시스템 개발 스토리

(6)
칩셋업체(Chipset vendor) 개발자와 협력할 때 주의해야 할 5가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업체들과 협력이 필요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복잡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제품 개발 업체(OEM) 개발자들은 칩셋 업체 개발자들과 자주 협력합니다. 보통 OEM 업체는 칩셋 업체에게 기술 지원을 요청할 때 Service Request(SR)라는 ‘티케팅 서비스’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OEM 업체가 퀄컴의 SM8650 칩셋을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어떤 기술 문제가 생겼을 때, 이메일로 지원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퀄컴 개발자는 “SR 티켓을 먼저 열어주세요”라고 답할 것입니다. 이는 퀄컴뿐 아니라 대부분의 칩셋 업체도 마찬가지입니다. 각 회사마다 정해진 기술 지원 절차가 있습니다. 칩셋 업체 개발자들과 네트워킹을 해 보면..
인프런에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것' 강좌를 오픈했습니다. 제가 인프런에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것 - 시스템 반도체와 전기 자동차 중심' 강좌를 만들어서 오픈했습니다.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것 강의 링크 그 동안 여러 세미나에서 시스템 반도체와 전기 자동차 분야에서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고 싶은데 어떻게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질문을 많이 받았습니다. 제가 세미나에서 답을 드린 내용을 잘 정리하고 압축해 강의를 만들었습니다. 강의 내용을 압축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실전 프로젝트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세세히 설명을 합니다. 2. 시스템 반도체와 전기 자동차 업계에서 리눅스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어떤 일을 하는지 자세히 다룹니다. 3. 각각 어떤 소프트웨어 스택으로 시스..
유데미에 'Armv8-A 아키텍처 Overview - 64비트 Arm Cortex-A Processor 기반'를 오픈했습니다. 제가 유데미에 'Armv8-A 아키텍처 Overview - 64비트 Arm Cortex-A Processor 기반'라는 강좌 만들어서 오픈했습니다. 링크와 할인 쿠폰은 아래와 같습니다; 강의 링크 할인 쿠폰(50% 할인: 35,000원): EB52732CAF0421687905 (5/30까지 유효) 스마트폰은 물론 AI 용 SoC 시스템 반도체, 전기자동차 Automotive(인포테인먼트, 자율주행)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 및 맥북에서 사용되는 Arm 프로세서는 모두 Armv8-A 기반 64비트 Cortex-A(e.g: Cortex-A53, Cortex-A57, Cortex-A72) 프로세서입니다. 현재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계에서 가장 많이 필요한 기반 지식이 요구되는 내용이 Armv8-A 아키텍처라고 볼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과는 왜 일하기 어려울까? 임베디드 개발자들의 성격 2009년 스마트폰 시대 부터 비에스피(BSP: Embedded Linux driver/Linux kernel)개발을 시작한 지 어언 9년이 흘렀다. 정말 9년 동안 수 많은 이슈를 만났고 이 놈들을 해결하면서 정말 고생도 많이 했다. 그런데 9년의 시간이 흐른 시점에서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나의 체험으로 느낀 점을 글로 남기지 못했다. 사실 그 당시 몸도 가누기 힘들 정도로 체력이 방전되어 어떤 글을 남긴다는 것은 상상도 하지 못했다. 이제 조금 나를 뒤돌아 볼 시점인 것 같다. 사실 요즘 조금 한가하기도 하다. 사실 난 원래 풤에어 혹은 비에스피(firmware, BSP)출신 개발자가 아니다. 난 2005년부터 휴대폰을 개발을 했는데 당시 피쳐폰(feature phone)의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 양극화는 얼마나 심각할까? 양극화는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심각한 문제 중 하나다. 양극화를 아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잘사는 가정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평생 부유한 환경과 유리한 조건에서 살고 못사는 집안의 아이는 평생 라면만 먹고 산다는 것이다. 양극화의 가장 큰 원인은 교육 기회의 박탈이다. 못사는 집안의 아이들은 부유한 가정의 아이들에 비교해 교육 환경이 좋지 못하니 좋은 대학에 가지 못하고 이로 좋은 회사에 취업도 못해 가난의 대물림이 계속된다는 것이다. 이 문장을 임베디드 개발 양극화 관점으로 바꿔 표현해보자. 좋은 개발 부서에서 실무 프로젝트를 수행한 개발자는 계속 실력이 향상하며 좋은 대우를 받으나 허접한 개발 부서에서 개발을 시작한 개발자는 개발 능력이 업그레이드되지 않아 평생 라면만 먹으며 낮은 연봉을 받으며 ..
리눅스 커널은 정말 오픈 소스 프로젝트일까? 리눅스 커널은 오픈 소소다. 모든 개발자나 학생들이 소스 코드를 들여다볼 수 있어 많은 정보를 알 수 있다. 함수 이름과 자료 구조를 보면서 리눅스 커널을 익힐 수 있다. 난 운영체제를 소스 코드를 보면서 익힐 수 있는 리누즈 토발즈 및 오픈 소스 정신을 부르짖는 분들께 감사를 드리고 싶다. 리눅스 커널이 오픈 소스 프로젝트가 아니였다면 난 아마 RTOS 운영체제로 임베디드 디바이스 개발을 했거나 아예 다른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뛰어들었을 지도 모른다.RTOS 회사가 알려주는 운영체제 개념도를 보면서 **그려러니** 하며 머릿속 개념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오픈 소스인 리눅스 커널로 누리는 혜택(?)이 있지만 만만치 않은 걸림돌이 있다.리눅스 커널 소스 코드를 이해하면서 읽기가 너무 어렵다는 것이다.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