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화는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심각한 문제 중 하나다.
양극화를 아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잘사는 가정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평생 부유한 환경과 유리한 조건에서 살고 못사는 집안의 아이는 평생 라면만 먹고 산다는 것이다.
양극화의 가장 큰 원인은 교육 기회의 박탈이다. 못사는 집안의 아이들은 부유한 가정의 아이들에 비교해 교육 환경이 좋지 못하니 좋은 대학에 가지 못하고 이로 좋은 회사에 취업도 못해 가난의 대물림이 계속된다는 것이다.
이 문장을 임베디드 개발 양극화 관점으로 바꿔 표현해보자.
좋은 개발 부서에서 실무 프로젝트를 수행한 개발자는 계속 실력이 향상하며 좋은 대우를 받으나 허접한 개발 부서에서 개발을 시작한 개발자는 개발 능력이 업그레이드되지 않아 평생 라면만 먹으며 낮은 연봉을 받으며 일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임베디드 개발자도 양극화가 있을까? 내가 겪어 본 바로는 개발자 양극화도 심하다고 본다.
내가 말하는 양극화는 기회의 박탈이다. 즉 실무 경험을 통해 개발 능력을 키울 기회를 의미한다.
임베디드 개발자 등급도 소고기 등급과 같이 특급부터 3등급까지 여러 등급으로 나눌 수 있는데 언제 등급이 매겨지는지 살펴보자.
가장 크게, 임베디드 개발자 등급은 취업할 때 입사하는 회사에 따라 나눠진다.
여기서 말하는 회사는 연봉과 이름값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역량 있는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는 실무 프로젝트를 할 수 있는 회사다.
아래 조건에서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을 시작하는 개발자는 우선 3~4등급으로 분류될 수밖에 없다. 왜냐?
제대로 개발을 안 하니 실무능력이 쌓이지 않기 때문이다.
1. 임베디드 장비로 디바이스 테스트만 하거나 시간을 많이 갈아 넣으면 할 수 있는 소모적인 일을 하는 개발 부서
2. 코딩한 줄 하지 않고 다른 업체가 포팅한 드라이버를 올려 테스트를 하며 갑질을 하는 개발 부서
3. 이미 안정화된 리눅스 커널에 드라이버 코드만 약간 수정하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개발 부서
4. 남들이 해 놓은 드라이버를 컴파일이나 빌드를 빨리 해서 디바이스에 올리는 일을 하는 개발 부서
회사의 이름 네임밸류가 높거나 연봉이 높다고 해도 이런 조건으로 일하는 임베디드 개발자의 역량을 인정해 줄까?
절~대 그렇지 않다.
임베디드 개발자의 생명은 디버깅 능력이라 생각한다. 디버깅 능력은 문제 해결 능력과 직결되며 문제 해결 능력이 없는 개발자는 이 업계에서 인정해주지 않는다. 그런데 제대로 실무 프로젝트를 맡으며 만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런 **기회**를 박탈당한 개발자는 디버깅 기술 역량이 업그레이드되지 않는다.
내가 여러 임베디드 모임이나 친구들과의 교류로 알게 된 사실은 많은 한국 임베디드 회사는 제대로 개발을 안 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한국 임베디드 IT 업체들은 실리콘 밸리에 있는 개발자와 경쟁할 수 있는 원천 기술이 녹아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려는 의지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대부분 미국 등 해외 업체가 구현한 소프트웨어를 올려서 커스터마이즈하는 수준의 일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럼 이제 1차 관문에서 다른 임베디드 개발자 등급은 가려졌으니 이제 1등급부터 특급으로는 가는 길만 있지 않을까?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운 좋게 1차 관문을 통과해서 좋은 회사에 취업해도 3~4등급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대로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회사에 배치됐다고 해도 그 부서 배치나 그 부서의 개발자 육성 정책에 따라 개발자 등급이 또 나뉘기 때문이다.
1. 회사의 운명을 결정 짓는 최신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하는 부서에 배치된 경우
- 쟁쟁한 개발자 틈에서 맨날 테스트만 한다.
- 핵심 디버깅 기법은 핵심 개발자들끼리 이야기하고 공유하지 않는다.
- 맨날 이메일을 쓰면서 다른 업체 인터페이스 역할만 한다.
2. 정치 싸움에 밀려 개별화만커스터마이즈만 하는 프로젝트를 하는 개발 부서에 배치
- 빌드 머신이 되어 하루에 3~4개씩 이미지를 배포하고 테스트만 한다. 코드 분석할 시간은 물론 없다.
- 커스터마이즈만 하는 일만 하는 부서이니 선배 개발자 개발 능력이 허접해 배울 것이 없다.
이름 값하는 회사에서도 벌레처럼 기어다니듯 개발자도 수 없이 많다.
제대로 개발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것이 현실에서는 **정말** 쉽지 않다.
1~2 관문을 통과하고 정말 실무 경험을 키울 수 있는 프로젝트에서 일하면 특급 개발자가 될 수 있나?
그렇지 않다. 끊임없는 노력으로 학습을 해야 특급 개발자가 될 수 있는 것 같다.
'리눅스 시스템 개발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프런에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것' 강좌를 오픈했습니다. (0) | 2023.10.23 |
---|---|
유데미에 'Armv8-A 아키텍처 Overview - 64비트 Arm Cortex-A Processor 기반'를 오픈했습니다. (1) | 2023.05.03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과는 왜 일하기 어려울까? (0) | 2019.02.12 |
리눅스 커널은 정말 오픈 소스 프로젝트일까? (2) | 2019.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