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Arm 아키텍처의 구조와 원리

[ARM] ARM사의 라이센스 방식: 소프트 매크로/하드 매크로

기존의 프로세서 설계 업체는 자체 프로세서를 제조해 배포합니다. 다른 업체들은 그 프로세서 설계 업체가 제작한 '프로세서 외부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자신의 시스템을 설계하는 방식으로 개발합니다. 설계되는 프로세서는 주변장치를 포함하기도 하고 프로세서들 사이에 기능을 추가하기도 합니다.
 
ARM사는 ARM 프로세서를 제조하지 않음
 
그런데 ARM사의 접근 방식은 다릅니다. ARM사는 ARM 프로세서를 직접 제조하지 않습니다.
ARM의 주요 임무는 프로세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아키텍처를 제공합니다. 특정 사양의 CPU를 제조해서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전략적 파트너가 되거나 고객 스스로가 자신의 칩에 ARM 프로세서를 탑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략입니다.
 
자신의 지적 재산권을 다른 회사에게 라이센싱 할 뿐입니다. SoC의 업체인 인텔, 엔비디아, TI(텍사스 인스트루먼트) 그리고 삼성은 자신만의 ARM 프로세서를 제조합니다.
각각 SoC업체는 SoC 제품군에 따라 ARM 프로세서의 세부 스팩을 적용해 ARM 프로세서를 탑재합니다.
 
ARM 프로세서를 라이센싱하는 또 다른 예로 애플을 들 수 있습니다.
 
애플의 주력 제품은 아이폰과 아이패드입니다. 기존의 프로세서 아키텍처 솔루션은 너무 많거나 적은 주변 장치에 엑세스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했습니다.
애플은 주변장치뿐만 아니라 속도와 소비 전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커스텀 캐시의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ARM 라이센스를 얻어 애플 주력 제품에 적용할만한 기능을 추가해 커스터마즈했고 그 결과 탄생한 것인 A4/A5 시리즈입니다.
 
정리하면 어느 IT 업체나 각자 SoC 스팩에 맞게 ARM 프로세서를 탑재할 수 있습니다. 
 
ARM 라이센스의 종류
 
ARM 라이센스는 2까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SoC 업체들은 ARM 에서 제공하는 2가지 방식 라이센스를 적용해 자신의 칩에 ARM 프로세서를 탑재합니다.
 
● 소프트 매크로 
 
버스 시스템, 그래픽 로직과 같은 IP의 기능의 구현 방식을 설명하는 라이센스로, 포멧은  RTL (VHDL/Verilog)입니다. 
자유롭게 ARM 프로세서의 캐시와 같은 컴포넌트를 설계하려는 SoC 업체가 활용하는 라이센스입니다.
 
● 하드 매크로 
 
주어진 프로세스에 적합한 IP의 물리적 레이아웃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라이센스입니다. 
커스터마이즈가 필요 없고 빠른 설계를 한 후 ARM 프로세서를 탑재하려는 SoC 업체가 사용하는 라이센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