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M아키텍처 (2) 썸네일형 리스트형 [Armv7-익셉션] Armv7 익셉션(Exception)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 처음에 ARM 아키텍처의 익셉션을 공부할 때 익셉션 벡터 테이블을 이해하는데만 집중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ARMv7 아키텍처의 익셉션 동작 원리를 파악하려면 익셉션 벡터 테이블만 제대로 이해하면 된다"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익셉션 벡터 테이블의 내용만 익히면 배운 내용을 실전 프로젝트에 활용하기 어렵습니다. 왜냐면, 익셉션 벡터 테이블의 내용보다도 다음과 같은 사실을 파악하는게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 익셉션은 소프웨어적으로 어떤 명령어가 실행될 때 유발될까? ❑ ARM 프로세서가 익셉션을 감지한 후 소프트웨어적으로 어떤 처리를 수행할까? 위에서 소개한 질문에 답을 하려면 다음 그림에서 소개한 익셉션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에 대해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림 8.1 ARMv7 익셉션을 구.. [Arm프로세서] HCR_EL2: 하이퍼바이저 콘트롤 레지스터 (Feat: Arm 강의) 하이퍼바이저 콘트롤 레지스터는 하이퍼바이저의 세부 동작을 설정하는 가장 중요한 레지스터 중입니다. HCR_EL2은 EL1에서 일어나는 세부 동작에 따라 EL2으로 진입(트랩)하는 방식을 설정할 수 있는 비트맵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다음 그림은 HCR_EL2 레지스터의 비트 맵 정보입니다. 그림 12.3 HCR_EL2 레지스터의 비트 맵 다른 레지스터와 같이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비트를 1로 설정하면, 해당 비트 맵과 관련된 동작이 수행됩니다. HCR_EL2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비트 맵 중에 중요한 내용을 소개하겠습니다. IMO, bit [4] 이 비트가 1로 설정되면 EL2이나 EL1에서 설정된 인터럽트를 EL2에서 받아 처리합니다. 만약 SCR_EL3.IRQ 비트가 1로 설정되면 EL3가 인터럽트..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