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re BSP 분석

(123)
[Kernel][Panic] crash due to "signature and/or required key missing" #커널 크래시 디버깅 및 TroubleShooting Race로 mmc_wait_data_done() 함수에서 커널 패닉 "cat /d/shrinker" 입력 시 커널 패닉 함수 포인터 미지정으로 xfrm_local_error() 커널 패닉 preempt 조건으로 ___might_sleep() 함수 크래시 스택 카나리: __stack_chk_fail() 함수 크래시 스택 카나리: tcp_v4_rcv -> __stack_chk_fail 크래시 뮤텍스 데드락(Mutex Deadlock)으로 락업(lockup) 디바이스 드라이버 Signature 문제로 커널 크래시 메모리 불량 커널 크래시 @find_vma_links() 메모리 불량 커널 크래시 @ttwu_do_activate() Race로 ipv6_ifa_..
[Linux][Kernel]뮤텍스 데드락(Mutex Deadlock) 락업(lockup) - "simpleperf" 디버깅 #커널 크래시 디버깅 및 TroubleShooting Race로 mmc_wait_data_done() 함수에서 커널 패닉 "cat /d/shrinker" 입력 시 커널 패닉 함수 포인터 미지정으로 xfrm_local_error() 커널 패닉 preempt 조건으로 ___might_sleep() 함수 크래시 스택 카나리: __stack_chk_fail() 함수 크래시 스택 카나리: tcp_v4_rcv -> __stack_chk_fail 크래시 뮤텍스 데드락(Mutex Deadlock)으로 락업(lockup) 디바이스 드라이버 Signature 문제로 커널 크래시 메모리 불량 커널 크래시 @find_vma_links() 메모리 불량 커널 크래시 @ttwu_do_activate() Race로 ipv6_ifa_..
[Linux][Kernel] Kernel Panic @__stack_chk_fail - 스택 카나리 (Stack canary Feature) #커널 크래시 디버깅 및 TroubleShooting Race로 mmc_wait_data_done() 함수에서 커널 패닉 "cat /d/shrinker" 입력 시 커널 패닉 함수 포인터 미지정으로 xfrm_local_error() 커널 패닉 preempt 조건으로 ___might_sleep() 함수 크래시 스택 카나리: __stack_chk_fail() 함수 크래시 스택 카나리: tcp_v4_rcv -> __stack_chk_fail 크래시 뮤텍스 데드락(Mutex Deadlock)으로 락업(lockup) 디바이스 드라이버 Signature 문제로 커널 크래시 메모리 불량 커널 크래시 @find_vma_links() 메모리 불량 커널 크래시 @ttwu_do_activate() Race로 ipv6_ifa_..
[Linux][Kernel] panic@___might_sleep #커널 크래시 디버깅 및 TroubleShooting Race로 mmc_wait_data_done() 함수에서 커널 패닉 "cat /d/shrinker" 입력 시 커널 패닉 함수 포인터 미지정으로 xfrm_local_error() 커널 패닉 preempt 조건으로 ___might_sleep() 함수 크래시 스택 카나리: __stack_chk_fail() 함수 크래시 스택 카나리: tcp_v4_rcv -> __stack_chk_fail 크래시 뮤텍스 데드락(Mutex Deadlock)으로 락업(lockup) 디바이스 드라이버 Signature 문제로 커널 크래시 메모리 불량 커널 크래시 @find_vma_links() 메모리 불량 커널 크래시 @ttwu_do_activate() Race로 ipv6_ifa_..
[Linux][Kernel][Stability] Kernel panic @0x0 from xfrm_local_error+0x4c #커널 크래시 디버깅 및 TroubleShooting Race로 mmc_wait_data_done() 함수에서 커널 패닉 "cat /d/shrinker" 입력 시 커널 패닉 함수 포인터 미지정으로 xfrm_local_error() 커널 패닉 preempt 조건으로 ___might_sleep() 함수 크래시 스택 카나리: __stack_chk_fail() 함수 크래시 스택 카나리: tcp_v4_rcv -> __stack_chk_fail 크래시 뮤텍스 데드락(Mutex Deadlock)으로 락업(lockup) 디바이스 드라이버 Signature 문제로 커널 크래시 메모리 불량 커널 크래시 @find_vma_links() 메모리 불량 커널 크래시 @ttwu_do_activate() Race로 ipv6_ifa_..
[Kernel][Debug] "cat /d/shrinker" kernel panic #커널 크래시 디버깅 및 TroubleShooting Race로 mmc_wait_data_done() 함수에서 커널 패닉 "cat /d/shrinker" 입력 시 커널 패닉 함수 포인터 미지정으로 xfrm_local_error() 커널 패닉 preempt 조건으로 ___might_sleep() 함수 크래시 스택 카나리: __stack_chk_fail() 함수 크래시 스택 카나리: tcp_v4_rcv -> __stack_chk_fail 크래시 뮤텍스 데드락(Mutex Deadlock)으로 락업(lockup) 디바이스 드라이버 Signature 문제로 커널 크래시 메모리 불량 커널 크래시 @find_vma_links() 메모리 불량 커널 크래시 @ttwu_do_activate() Race로 ipv6_ifa_..
[Linux-Kernel][Debug]kernel panic@mmc_wait_data_done #커널 크래시 디버깅 및 TroubleShooting Race로 mmc_wait_data_done() 함수에서 커널 패닉 "cat /d/shrinker" 입력 시 커널 패닉 함수 포인터 미지정으로 xfrm_local_error() 커널 패닉 preempt 조건으로 ___might_sleep() 함수 크래시 스택 카나리: __stack_chk_fail() 함수 크래시 스택 카나리: tcp_v4_rcv -> __stack_chk_fail 크래시 뮤텍스 데드락(Mutex Deadlock)으로 락업(lockup) 디바이스 드라이버 Signature 문제로 커널 크래시 메모리 불량 커널 크래시 @find_vma_links() 메모리 불량 커널 크래시 @ttwu_do_activate() Race로 ipv6_ifa_..
BUG(): CONFIG_PANIC_ON_OOPS, CONFIG_PANIC_ON_OOPS_VALUE Sometime I noticed that system does not crash when the call to BUG() is made in the kernel driver. I just observed the stack trace from the kernel log and then find that target is running rather than entering crash mode. To make the target crash when BUG() is called, the following config should be present; CONFIG_PANIC_ON_OOPS=y CONFIG_PANIC_ON_OOPS_VALUE=1 Let's look at kernel die() function w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