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셉션 (9) 썸네일형 리스트형 [RISC-V] 익셉션 코드(Exception codes)란 (RISC-V 강의) RISC-V 아키텍처에서 익셉션 코드(Exception codes)는 익셉션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번 강의 영상에서는 RISC-V 아키텍처의 익셉션 코드를 설명합니다. 강의 링크: [RISC-V] 메모리 어보트 익셉션(Exception)의 실행 흐름 (RISC-V 강의) 실전 프로젝트에서는 익셉션은 메모리 어보트라고 간주합니다. RISC-V 아키텍처에서 메모리 어보트 성 익셉션의 실행 흐름에 대해 설명하는 컨텐츠입니다. 강의 링크: [RISC-V] 인터럽트 타입 익셉션(Exception)의 실행 흐름 (RISC-V 강의) RISC-V 아키텍처에서 인터럽트는 익셉션의 한 종류로 처리합니다. 이는 Arm 아키텍처(Armv8-A, Armv7-A)와 비슷합니다. RISC-V 아키텍처에서 인터럽트 타입 익셉션의 실행 흐름에 대해 설명하는 컨텐츠입니다. 관련 강의: [RISC-V] 익셉션(Exception)의 기본 동작 원리 (RISC-V 강의) RISC-V 아키텍처에서 익셉션(Exception)의 기본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콘텐츠입니다. 익셉션이 유발되면 익셉션의 종류 별로 정의된 주소로 프로그램 카운터로 분기합니다. 관련 강의 영상: #RISC-V #Exception #익셉션 #risc-v [RISC-V] 익셉션(Exception)의 종류 (RISC-V 강의) RISC-V 아키텍처에서 익셉션(Exception)의 동작 방식을 분석하기 앞서서, 익셉션의 종류를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컨텐츠에서는 RISC-V 아키텍처에서 익셉션의 종류를 설명합니다. 관련 영상: #RISC-V#Exception#익셉션#risc-v [Arm프로세서] Armv8 아키텍처의 익셉션 소개 많은 분들이 생각하는 익셉션의 개념은 'Armv7 아키텍처의 익셉션'인 경우가 많아, Armv8 아키텍처를 배울 때 Armv7 아키텍처의 익셉션과 비슷할 것이라 예상합니다. 익셉션이 발생하면 지정한 주소로 프로그램 카운터를 브랜치하는 기본 개념은 Armv7/Armv8 아키텍처가 같으나, 익셉션을 처리하고 분류하는 체계와 세세한 처리 방식이 많이 다릅니다. Armv8 아키텍처의 익셉션은 고성능 컴퓨터에서 적용되는 트러스트 존이나 가상화 시스템인 하이퍼바이저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기반 지식이므로, 반드시 잘 알아야 둬야 합니다. 익셉션(Exception)은 Armv8 아키텍처의 핵심 기능 중 하나입니다. Armv8 아키텍처에서 정의된 익셉션를 활용해 하이퍼바이저와 같은 가상 시스템을 설계할 수 .. [Arm프로세서] Armv8 익셉션(Exception)의 전반적인 특징 그 동안 Arm 아키텍처는 CPU 아키텍처 시장에서 '저전력', '소형 디바이스' 용으로 사용되는 CPU 아키텍처로 분류됐습니다. 최대한 적은 트렌지스터를 사용해 최소의 소모 전력으로 CPU를 설계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Arm 코어의 CPU 아키텍처도 최대한 심플하게 디자인했습니다. 익셉션의 구조 관점으로 보면, Armv7 아키텍처의 익셉션도 다음과 같이 심플하게 설계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익셉션 벡터가 4바이트 단위로 정렬 ❑ 어떤 Arm 동작 모드에서 익셉션이 발생해도 익셉션 벡터로 브랜치 ❑ 익셉션의 종류도 8개로 정의 내림 그런데, Armv8 아키텍처는 CPU 아키텍처 시장에 "우리는 고성능 컴퓨터나 클라우드 서버에 진출하겠다"라고 출사표를 던지고 설계한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의 소형 저전력.. [Arm 프로세서] Armv7: 인터럽트 타입 익셉션의 실행 흐름 ARM 아키텍처에서는 메모리 어보트 타입과 더불어 외부 인터럽트도 익셉션의 한 종류로 처리합니다. 외부 인터럽트는 메모리 어보트와 달리 하나의 기능으로 동작하므로, 외부 인터럽트의 익셉션 핸들러는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실행합니다.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통해 외부 하드웨어의 변화에 대해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수행합니다. 그런데 인터럽트 타입 익셉션은 메모리 어보트 타입 익셉션과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메모리 어보트 타입 익셉션은 ARM 코어가 명령어를 제대로 실행할 수 없는 상황에서 유발됩니다. 하지만, 인터럽트 타입 익셉션은 메모리 어보트 타입 익셉션과 달리 외부 하드웨어가 인터럽트라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면 ARM 코어가 이를 익셉션의 한 종류로 받아 처리하는 것입니다. 즉, 외부 하드웨어에서 어.. 이전 1 2 다음